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이웃들 얘기(펌)

한나라당, 유불리 따라 'IP공개' 결정하나

한나라당이 최근 4대 개혁법안 저지를 위한 사이버전쟁을 선포한 가운데 자신의 유불리에 따라 IP공개 여부를 활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IP란 인터넷상에서 각각의 컴퓨터에 부여된 주소. ‘123.456.789.101’와 같이 네 단위의 숫자 형태인 IP주소를 IP검색 사이트에서 조회하면 해당 기관이나 단체를 찾을 수 있다. 대부분의 인터넷사이트 익명게시판에는 익명성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게시물에 작성자 컴퓨터의 IP가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지난 2일 <디시인사이드>에 올라온 '한나라당 IP 조회 차단' 관련 게시물
ⓒ2004 디시인사이드
네티즌 "한나라만 알바논쟁 생겨"... 한나라 "악용방지"

지난 2일 디지털카메라 동호회 사이트 <디시인사이드> ‘시사갤러리’코너에는 아이디 '깽판?’의 '한나라당의 아이피 숨기기 작전!'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즉 11월 29일 <디시인사이드>에 올라온 어떤 글의 IP를 조회해보니 한나라당 IP라는 게 확인됐는데, 사흘 뒤 12월 2일 같은 IP로 다시 조회해보니 KORNET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게시물 작성자는 "한나라당의 IP숨기기 작전 아니냐”고 강하게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실무자는 악용방지를 위해 애초부터 IP 비공개 원칙으로 운영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디지털정당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희정(부산 연제) 한나라당 의원은 이같은 사실을 몰랐다고 말해 실무자와 전혀 다른 답변을 했다.

유은종 한나라당 디지털정당본부 팀장은 9일 오후 <오마이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지난 6월 여의도 천막당사에서 염창동 새 당사로 옮길 때부터 KT에 요청해 IP조회가 불가능하게 조처했다”며 “그런데 지난 11월말 IP차단이 풀린 것을 확인했고 그 즉시 KT에 IP조회가 되지 않도록 다시 요청했다”고 말했다. 당시 IP차단이 왜 풀렸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유 팀장은 한나라당이 IP를 노출하지 않는 이유와 관련, “올해 초 여의도 당사 시절 <디시인사이드>에서 한나라당 IP가 노출돼 ‘여론조작 의혹’, ‘알바(아르바이트)논쟁’과 같은 불필요한 일에 휘말렸던 적이 있다”며 “이런 논쟁에 IP조회가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유 팀장은 또 “한나라당사 안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고 기자와 같은 외부인도 인터넷을 쓰고 있기 때문에 한나라당 IP라고 해서 무조건 한나라당 소속 사람이 쓴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며 “한나라당 IP로 각 개인이 인터넷에 어떤 의견을 올린다고 해도 문제될 것이 없고 그것들을 일일이 통제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지난달 28일 열린 '4대 국민분열법 바로알기 네티즌 운동 선포식`에서 미니홈피에 글을 남기고 있다.
ⓒ2004 오마이뉴스 박상규
열린우리당, 민주노동당, 민주당 등 IP정보 차단 안해

하지만 한나라당의 이같은 해명을 수긍하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지난 2일 처음으로 <오마이뉴스>에 한나라당의 IP조회 차단 사실을 제보했던 한 네티즌은 “다른 정당들은 ‘알바논쟁’이니 여론조작이니 하는 게 크게 문제된 적이 없는데 한나라당만 그런 일이 생긴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외부인들이 한나라당사 안에서 인터넷을 쓴다고 하는데 그러면 왜 한나라당 IP를 단 글들은 한나라당 입장과 항상 같은가"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또 그는 "인터넷의 익명게시판에서 IP를 표시하도록 한 것은 익명성에 따른 무책임한 글이 생기는 허점을 보완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며 "다른 정당들은 다 IP조회가 되게 하는데 한나라당만 IP조회를 막아놓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라고 밝혔다.

<오마이뉴스>의 확인 결과, 열린우리당, 민주노동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등 다른 정당들은 당사 IP정보 조회를 차단하지 않고 있다. 이원욱 열린우리당 사이버운영실장은 “IP조회 차단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그런 문제를 고민해 본 적도 없다”고 밝혔다. 김창현 민주노동당 인터넷국장도 역시 같은 입장을 밝혔다.

한나라당만 IP를 숨기고 있는 문제와 관련, 김희정 한나라당 디지털정당위원장은 10일 오후 1시경, 7시경 두 차례에 걸친 <오마이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한나라당사 IP에 대한 조회가 차단되어 있는지 몰랐다"며 "실무자들을 통해 사실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라 구체적인 입장을 이야기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사실이라 하더라도 나쁜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성영의원 홈피 비난글 IP·암호공개에 네티즌 반발
비판 쇄도하자 9일부터 노출..주의원측 "고발하길 원하냐"

사용자 삽입 이미지
▲ 10일 주성영의원실에서 올린 '수사의뢰 조치' 답글
ⓒ주성영의원 홈페이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성영 한나라당 의원(대구 동구 갑)의 홈페이지에서는 최근 '이철우 의원 간첩의혹설'을 제기한 주 의원을 비판하는 게시물에 대해서만 게시자 IP와 암호를 공개해 네티즌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

주 의원은 지난 8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철우(경기 연천) 열린우리당 의원이 북한노동당에 가입한 전력이 있다"면서 간첩의혹설을 주장해 파문을 일으켰던 3인 중 한사람이다.

이후 9일 하루에만 370여건의 게시물이 올라온 주성영 의원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지지글과 비난글이 뒤섞여 있다. 그러자 주성영 의원실에서는 이날부터 주 의원을 비방하는 글을 게시한 사람의 IP와 암호를 공개하는 답글을 달기 시작했다.

또 IP와 암호공개 조처에 대한 비난여론이 들끓자 주성영 의원실에서는 한 네티즌의 글과 관련, "사이버수사대에 정식으로 수사의뢰 조치했다"고 밝혔다.

권태윤 주성영 의원 보좌관은 10일 오전 <오마이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게시자의 IP·암호공개 이유를 묻자 “명예훼손 행위가 될 수 있으니 자제해 달라는 의미”라고 밝혔다. 실제로 사이버수사대에 수사의뢰를 했느냐는 질문에는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어 '수사의뢰를 하지 않았다면 거짓말로 네티즌 협박한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고발하길 원하고 있는 모양인데 오늘내로 원하는 결과를 주겠다"며 전화를 끊었다.

곧이어 주성영 의원실에서는 이와 관련한 입장을 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렸다. 주성영 의원측은 이 글에서 "많은 네티즌들의 경우 상주하다시피 하면서 지속적으로 악의적 비방과 인신모독을 계속하고 있어 자제해달라는 의미에서 1차로 IP를 올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계속 비방과 인신모독을 서슴지 않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전제한 주성영 의원측은 오마이뉴스의 취재사실을 언급한 뒤 "선의를 이런 식으로 왜곡하는구나 싶어 그에 응답하기로 결정, '주모씨'라는 닉네임으로 비방을 일삼는 분을 1차로 수사의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